유방암은 다른 암과 다르게, 호르몬 치료를 병행합니다. 유방암과 연관된 호르몬 치료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종류와 다른 치료법과의 비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유방암과 호르몬 치료
유방암은 종양 세포의 성장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그중 호르몬 수용체 양성(HR+) 유방암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또는 프로게스테론에 의해 성장이 촉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경우, 호르몬 치료(Endocrine Therapy 또는 Hormonal Therapy)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1. 호르몬 치료란?
호르몬 치료는 유방암세포의 성장에 필요한 호르몬을 차단하거나 호르몬의 작용을 방해하여 암의 진행을 막는 치료법입니다. 주로 호르몬 수용체 양성(HR+) 유방암 환자에게 적용됩니다.
호르몬 치료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에스트로겐 또는 프로게스테론의 생성 억제
- 암세포가 호르몬을 이용하지 못하도록 차단
이 치료는 수술 후 보조요법(Adjuvant Therapy)으로 사용되거나, 전이성 유방암 치료에도 사용됩니다.
2. 호르몬 치료제의 종류
호르몬 치료제는 크게 항에스트로겐제, 아로마타제 억제제, LHRH 작용제 세 가지로 나뉩니다.
1) 항에스트로겐제 (SERM, SERD)
에스트로겐이 암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을 막아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합니다.
- 타목시펜(Tamoxifen)
대표적인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
폐경 전후 모두 사용 가능
장기간(5~10년) 사용 시 재발률 감소 효과
풀베스트란트(Fulvestrant, Fasldex)
선택적 에스트로겐 분해제(SERD)
폐경 후 여성에게 사용
주사제로 투여
2) 아로마타제 억제제 (Als, Aromatase Inhibitors)
에스트로겐 생성 효소(아로마타제)를 억제하여 체내 에스트로겐 생성을 차단합니다.
-> 폐경 후 여성에게 주로 사용됨.
아나스트로졸(Anastrozole, 아리미덱스)
레트로졸(Letrozole, 페마라)
엑세미스탄(Exemestane, 아로마신)
3) LHRH 작용제 (GnRH Agonists)
뇌하수체에서 성호르몬 생성을 조절하는 LHRH(GnRH)를 차단하여 에스트로겐 생성을 억제합니다.
-> 폐경 전 여성에게 사용됨.
고세렐린(Goserelin, 졸라덱스)
류프로라이드(Leuprolide, 루프론)
3. 호르몬 치료의 효과
재발 방지: 유방암 재발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
생존율 향상: 수술 후 호르몬 치료를 병행하면 생존율이 증가
전이암 치료: 진행성 또는 전이성 유방암의 진행 속도를 늦춤
4. 부작용 및 고려사항
호르몬 치료는 장기적으로 사용되므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타목시펜의 부작용: 혈전 위험 증가, 자궁내막암 위험 증가
- 아로마타제 억제제의 부작용: 골다공증, 관절통
- LHRH 작용제의 부작용: 폐경 증상(안면홍조, 골다공증, 성욕 감소)
개인별 상태에 맞는 맞춤 치료가 중요하며,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5. 호르몬 치료와 다른 치료법 비교
치료법 | 적용 대상 | 주요 기전 | 주요 부작용 |
호르몬 치료 | HR+ 유방암 | 호르몬 차단 | 폐경 증상, 골다공증 |
항암 화학요법 | 모든 유방암 | 세포 증식 억제 | 탈모, 면역력 저하 |
표적 치료 | HER2+ 유방암 | HER2 단백질 차단 | 심장 독성 |
면역 치료 | 삼중음성 유방암 (TNBC) | 면역 활성화 | 면역 부작용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