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서 HRD와 ADC와의 연관성을 다룬 글이 있었는데, 이번에는 BRCA와 HRD와의 연관성에 대해서 다뤄보고자 한다. HRD는 DNA 이중가닥 손상을 복구하는 동형 재조합(HR)경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때, BRCA1 및 BRCA2 유전자 돌연변이는 HRD의 대표적인 원인입니다.
1. BRCA 유전자와 HRD의 관계
- BRCA1 & BRCA2의 역할
BRCA1/2 유전자는 DNA 이중가닥 손상을 복구하는 핵심 단백질을 코딩
BRCA 1/2가 정상적으로 기능하면 정확한 동형 재조합(HR) 복구를 수행하여 DNA 손상을 수리
그러나 BRCA 1/2 돌연변이가 있으면 HR 복구 기능이 저하되면서 HRD 상태가 됨.
- BRCA 돌연변이가 HRD를 유발하는 과정
1. BRCA 1/2 돌연변이 -> 동형 재조합 복구(HR) 기능 소실
2. 대체 복구 기전 활성화 (예: 미스매치 복구, 단순 말단연결)
3. DNA 손상이 적절히 복구되지 않음 -> 유전체 불안정성 증가
4. 암세포가 HRD 상태가 됨 -> 특정 항암제(PARP 억제제 등)에 취약해짐.
- BRCA 변이가 있는 경우, HRD가 높은 확률로 동반됨
BRCA 1/2 돌연변이는 대표적인 HRD 원인이며, BRCA 변이가 있으면 HRD가 거의 항상 존재
하지만 HRD가 있다고 해서 반드시 BRCA 돌연변이가 있는 것은 아님.
-> RAD51C/RAD51D, PALB2, ATM, CHEK2 등의 다른 DNA 복구 유전자 변이도 HRD를 유발 가능
또는 BRCA 1/2 프로모터 메틸화 같은 후성유전적 변화도 HRD를 유도할 수 있음.
2. HRD와 BRCA가 중요한 이유
- 항암 치료 반응 예측
HRD가 있는 종양은 특정 항암제에 대한 반응성이 높음
특히 PARP억제제 (Olaparib, Rucaparib, Niraparib)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
PARP 억제제는 HRD 종양에서 치명적인 DNA 손상을 축적시켜 암세포 사멸을 유도
- 항암제 감수성 비교
유전자 상태 | HR 기능 | PARP 억제제 감수성 | DNA 손상 축적 가능성 |
정상 BRCA & 정상 HRD | 정상 | 낮음 | 낮음 |
BRCA 돌연변이 (HRD) | 손상됨 | 높음 | 높음 |
BRCA 정상 + HRD 돌연변이 (ex. RAD51C) |
손상됨 | 높음 | 높음 |
3. HRD 검사와 BRCA 검사의 차이
BRCA 검사 : 유전성 암 여부를 확인하는데 중점
HRD 검사 : 치료 반응성을 예측하기 위해 유전체 불안정성을 종합적으로 평가
항목 | BRCA 검사 | HRD 검사 |
목적 | BRCA 1/2 유전자의 돌연변이 유무 확인 | 종양의 HRD 상태 전반을 평가 |
검사 방법 | DNA 염기서열 분석(NGS, PCR) | LOH, TAI, LST 등 유전체 불안정성 평가 + BRCA 포함 가능 |
검사 대상 | 유전성 암 (가족력 있는 난소암, 유방암) | HRD 여부를 통해 치료 반응을 예측할 때 |
BRCA 1/2 돌연변이는 HRD 대표적인 원인
HRD가 있으면 PARP 억제제와 같은 표적 치료제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
HRD는 BRCA 돌연변이 없이도 존재할 수 있으며, 이를 평가하는 것이 치료 선택에 중요
BRCA 검사와 HRD 검사를 병행하여 환자의 치료 전략을 최적화하는 것이 최근 항암 치료에서 중요한 트렌드입니다!!!
'의료관련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C(Antibody-Drug Conjugates)나 CAR-T 치료제 타겟 단백질의 정량적 공간 분석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25.04.07 |
---|---|
유방암과 호르몬 치료의 연관성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25.03.17 |
Transcriptomics, Metabolomics, Proteomics 비슷하지만 다른 3가지오믹스(Omics) 데이터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5.03.13 |
모노머(Monomer), 올리고머(Oligomer), 폴리머(Polymer)의 의미와 관계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2) | 2025.03.10 |
QTL (Quantitative Trait Loci)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0) | 2025.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