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믹스(Omics) 데이터를 들여다보면, 이 세 가지 Transcriptomics, Metabolomics, Proteomics에 대해서 듣게 된다. 이 세 가지 개념은 생물학에서 오믹스(Omics) 연구의 주요 분야로, 유전체 이후 생물학적 시스템을 더 깊이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분야 | 연구 대상 | 주요 기술 | 활용 |
Transcriptomics | RNA (전사체) | RNA-seq, Microarray | 유전자 발현 분석, 질병 마커 발굴 |
Metabolomics | 대사 산물(대사체) | LC-MS, NMR | 대사 경로 분석, 약물 반응 연구 |
Proteomics | 단백질(단백체) | Mass Spectrometry, 2D-Gel | 단백질 구조, 기능 및 상호작용 분석 |
1. Transcriptomics (전사체학)
Transcriptomics는 세포 내에서 발현되는 RNA(전사체, Transcriptome)를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유전자(DNA)가 단백질로 변환되기 위해서는 먼저 RNA로 전사되므로, transcriptome 분석을 통해 세포의 기능적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요 개념
- mRNA (전령 RNA) : 단백질 합성의 청사진 역할
- ncRNA (비번역 RNA) : 유전자 발현 조절 (miRNA, IncRNA 등)
- Alternative Splicing : 하나의 유전자가 여러 개의 단백질을 만들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
주요 기술
- RNA-seq (RNA sequencing) :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술로 RNA 발현 수준을 정량화
- Microarray: 기존 기술로, RNA 발현을 칩에 고정된 DNA 프로브와 하이브리다이제이션하여 측정
2. Metabolomics (대사체학)
Metabolomics는 세포 내에서 생성되거나 소비되는 대사 산물(Metabolite)을 연구하는 분야입ㄴ다. 이는 세포의 최종 표현형(Phenotype)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간주됩니다.
주요 개념
- Primary Metabolite (1차 대사 산물) :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분자 (예: 포도당, 아미노산)
- Secondary Metabolite (2차 대사 산물) : 특정 환경에서만 생성되는 분자 (예: 항생제, 식물 알칼로이드)
- Metabolic Pathways (대사 경로) : TCA 사이클, 글리콜리시스, 펜토스 인산 경로 등
주요 기술
- LC-MS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 분석을 조합하여 대사산물 분석
- GC-MS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휘발성 대사체 분석
- NMR (Nuclear Magnetic Resonanace) : 비파괴적 분석 기법으로 구조 및 농도 측정
활용
- 대사 질환 연구 : 당뇨병, 암, 비만 등에서 대사 산물 변화 분석
- 약물 반응 분석 : 약물이 체내에서 어떻게 대사되는지 확인
- 영양 및 식이 연구 : 특정 식단이 신진대사에 미치는 영향 연구
3. Proteomics (단백체학)
Proteomics는 세포 내에서 발현되는 단백질(Proteome)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단백질은 유전자 발현의 최종 산물이므로, 유전체나 전사체보다 생물학적 기능을 보다 직접적으로 반영합니다.
주요 개념
- Protein Expression (단백질 발현 수준): 특정 세포 또는 조직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의 양적 변화
-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PTMs, 번역 후 변형) : 인산화, 메틸화, 아세틸화 등 단백질 기능 조절에 중요한 변형
- Protein-Protein Interaction (PPI, 단백질 상호작용) : 신호 전달 및 대사 과정 조절
주요 기술
- Mass Spectrometry (질량 분석법, MS): 단백질을 이온화하여 질량-전하비를 측정
- 2D-Gel Electrophoresis (2차원 겔 전기영동): 단백질 혼합물에서 개별 단백질을 분리
- Protein Microarrays: 여러 단백질을 동시에 분석하는 칩 기술
활용
- 질병 바이오마커 발굴 : 특정 단백질의 변화를 이용한 암, 알츠하이머 등의 진단
- 단백질 신약 개발 : 단백질 기반 치료제 연구 (예: 항체 치료제)
- 신호전달 네트워크 분석 : 단백질 상호작용을 통해 세포 내 정보 흐름 분석
통합 오믹스 연구 (Mutl-Omics)
통합 오믹스 | 결합 방식 | 활용 |
Transcriptomics + Proteomics | 유전자 발현과 단백질 발현 비교 | 전사체 조절 연구 |
Proteomics + Metabolomics | 단백질과 대사체 간의 관계 분석 | 대사 경로 해석 |
Transcriptomics + Metabolomics | 유전자 발현과 대사체의 변화 비교 | 환경-유전체 상호작용 연구 |
적용 사례
- 암 연구 : 특정 암에서 유전자 발현(RNA-seq) -> 단백질 발현 (Proteomics) -> 대사 변화 (Metabolomics)를 통합 분석하여 신호 경로 규명
- 신경퇴행성 질환 연구 : 알츠하이머병에서 단백질 응집(Proteomics)과 대사 변화(Metabolomics)를 연결하여 병리 기전 분석
최근에 Multi-Omics 접근 방식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의료관련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암과 호르몬 치료의 연관성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25.03.17 |
---|---|
HRD(Homologous Recombination Deficiency)와 BRCA의 연관성 (1) | 2025.03.14 |
모노머(Monomer), 올리고머(Oligomer), 폴리머(Polymer)의 의미와 관계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2) | 2025.03.10 |
QTL (Quantitative Trait Loci)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0) | 2025.02.20 |
NGS 검사와 RNA Sequencing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24.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