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C(Antibody-Drug Conjugates)나 CAR-T 치료제 개발에서, 타겟 단백질의 정량적 공간 분석(Quantitative spatial analysis)은 매우 중요합니다. 왜 중요한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 분석은 단순히 발현 여부만이 아니라, 발현량 / 세포 내.외 위치 / 조직 내 분포 패턴 등을 정량화하고 시각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왜 공간적 분석이 중요할까?
ADC : 약물이 결합해야 할 항원이 세포 표면에 충분히 발현되어 있어야 하며, 비표적 조직에서는 낮게 발현되어야 함.
CAR-T : T세포가 타겟을 인식하고 공격하려면, 항원이 세포막 표면에 안정적으로 발현되어 있어야 함. 조직 내 분포나 종양 미세 환경 속 위치도 중요.
정량적 공간 분석에 포함되는 요소들
1. 정량적 발현 수준(Quantitative Expression Level)
- IHC(Immunohistochemistry) : 표준적인 방식으로 H-score 또는 % positive cells로 표현
- mIF (Multiplex Immunofluorescence) : 여러 단백질을 동시에 정량화 가능, digital pathology 분석과 연계
2. 세포 내 위치 (Subcellular Localization)
ADC와 CAR-T 모두 표면 항원이어야 하므로, 막(membrane) localization이 중요
예: CLDN 182.는 tight junction protein -> 세포극성 붕괴 후에는 표면에 노출됨 -> 암 특이성 확보
3. 조직 내 공간 분포 (Spatial Distribution in Tissue)
- Tumor vs. Stroma localization : 종양세포 안에만 발현되나, stromal 영역에도 있을 수 있음.
- Immune cell infiltration과의 proximity 분석 : CAR-T와 병용할 면역치료 조합 설계에 유리
- Spatial transcriptomics 나 mIF + image analysis (AI 기반)로 분석 가능
4. 동질성 vs 이질성 (Homogeneity vs Heterogeneity)
- 항원 발현이 종양 내에서 균일한지 (Homogeneous) -> 치료 예측 지표
- 이질적인면 : 일부 세포는 치료 회피 -> 내성 발생 가능
주요 분석 기술
기술 | 특징 |
IHC + 디지털 이미지 분석 | H-score, % positivity, tumor vs. normal 구분 |
Multiplex Immunofluorescence (mIF) | 여러 항원 동시 분석, 공간 분포 파악 |
Spatial Transcriptomics | mRNA 수준의 공간적 발현 정량 |
Imaging Mass Cytometry (IMC) | 단백질 30종 이상 동시 분석 가능 |
AI 기반 병리 분석 | 공간 구조(거리, 클러스터링 등)계산, 치료 반응 예측 모델 학습 가능 |
'의료관련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A와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봐요. (0) | 2025.04.16 |
---|---|
유방암과 호르몬 치료의 연관성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25.03.17 |
HRD(Homologous Recombination Deficiency)와 BRCA의 연관성 (1) | 2025.03.14 |
Transcriptomics, Metabolomics, Proteomics 비슷하지만 다른 3가지오믹스(Omics) 데이터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5.03.13 |
모노머(Monomer), 올리고머(Oligomer), 폴리머(Polymer)의 의미와 관계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2) | 2025.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