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료관련 리뷰

QTL (Quantitative Trait Loci)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by daily review 2025. 2. 20.

QTL은 제가 읽는 논문 본문에서 나와서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논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Due to the polygenetic nature of cognitive function, we did not find QTL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y-maze, contextual fear acquisition (CFA) or memory, or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 at the genome-wide level. To more precisely interrogate the molecular regulation of variation in these traits, we employed RNA seq and identified gene networks related to transcription/translation, cellular metabolism, and neuronal function that were associated with working memory, contextual fear memory, and cognitive decline.

 

인지 기능의 다유전자적(polygenic) 특성으로 인해 Y-미로, 맥락적 공포 획득(CFA) 또는 기억, 그리고 인지 기능 저하와 유의하게 연관된 QTL을 전장유전체 수준에서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대신, 이러한 형질에서의 분자적 조절을 보다 정밀하게 조사하기 위해 RNA 시퀀싱(RNA-seq)을 활용하였으며, 작업 기억(working memory), 맥락적 공포 기억(contextual fear memory), 인지 저하와 관련된 전사/번역(transcription/translation), 세포 대사(cellular metabolism), 그리고 신경 기능(neuronal function)과 관련된 유전자 네트워크를 확인하였습니다.

 


 

QTL이란?

 **양적 형질(Quantitative Trait)**을 조절하는 유전체상의 특정 위치(locus)를 의미합니다. 양적 형질은 여러 개의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쳐 연속적인 분포를 보이는 형질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키, 혈압, 인지 기능 같은 형질은 단일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여러 유전자의 작은 효과가 누적되면서 형성됩니다.

 

 

QTL의 특징

  1. 다유전자 효과
    • QTL은 단일 유전자 좌위(single gene locus)와 달리, 여러 개의 유전자가 형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특정 유전자가 형질에 미치는 효과가 작을 수 있습니다.
  2. 환경 요인의 영향
    • QTL이 조절하는 양적 형질은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양 상태나 생활 습관이 키나 체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연속적 변이(Continuous Variation)
    • 키나 지능처럼 특정 그룹으로 나뉘지 않고 연속적으로 변하는 형질이 QTL의 영향을 받습니다.

 

QTL을 찾는 방법

QTL을 찾기 위해 주로 유전체 연관 분석(Genetic Association Study)과 연계된 방법이 사용됩니다.

  1. QTL 매핑(QTL Mapping)
    • 실험적으로 유전적 변이와 형질을 연관 지어 특정 유전적 마커(SNP, SSR 등)가 특정 형질과 연관이 있는지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 일반적으로 동물 모델(예: 마우스)에서 유전적으로 다른 집단(예: 고혈압 vs. 정상 혈압)을 교배하여 유전적 변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2. GWAS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전장유전체연관분석)
    • 인간을 포함한 복잡한 유전체를 가진 생물에서 특정 형질과 연관된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단일염기다형성)를 찾는 방법입니다.
    • 다유전자적 형질(polygenic trait)에서는 많은 SNP가 소규모로 영향을 미치므로, 단일 QTL이 아니라 여러 QTL이 형질에 기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eQTL (Expression Quantitative Trait Loci, 발현 양적 형질 좌위)
    • 특정 유전자의 발현량과 관련된 QTL을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 예를 들어, RNA-seq 데이터를 활용해 특정 유전자 네트워크의 발현 변화와 유전적 변이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인지 기능 연구에서 QTL의 활용

인지 기능은 매우 다유전자적(polygenic)형질이기 때문에, 특정 유전자 하나가 인지 기능을 결정하기 보다는 여러 개의 유전자가 함께 작용합니다.

 

  • 특정 인지 기능(예: 작업 기억, 공간 기억, 학습 능력 등)과 연관된 QTL을 찾으면 해당 형질의 유전적 조절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만약 인지 저하(QTL관련 돌연변이 또는 변이)를 가진 개체에서 특정 유전자 네트워크의 변화가 보인다면, 해당 유전자들이 신경퇴행성 질환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QTL 연구의 한계

  1. 효과 크기가 작음
    • 대부분의 QTL은 개별적으로 형질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아서, 단독으로는 강한 연관성을 찾기 어렵습니다.
  2. 환경 요인의 혼재
    • 동일한 유전적 변이를 가진 개체라도 환경적 요인(영양, 스트레스 등)에 따라 형질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복잡한 유전자 상호작용
    • QTL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유전자들과 상호작용(epistasis)**을 통해 형질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