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노머(Monomer), 올리고머(Oligomer), 폴리머(Polymer)의 용어들은 화학적 구조와 분자의 크기에 따라 분류된 개념으로, 주로 고분자 화학(polymer chemistry)과 생물학에서 사용됩니다.
1. 모노머(Monomer) - 단위체
가장 작은 분자 단위로, 다른 동일하거나 유사한 분자와 결합하여 더 큰 분자를 형성할 수 있는 기본 단위입니다.
- 특징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화학 반응을 통해 다른 모노머와 결합하여 더 큰 분자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예: 아미노산(단백질의 기본 단위), 뉴클레오타이드(DNA의 기본 단위), 포도당(다당류의 기본 단위)
얼마 전 에자이에서 진행한 세션에서 해당 이미지를 가져와봤습니다.
2. 올리고머(Oligomer) - 저분자 중합체
소수(2~10개 정도)의 모노머들이 결합하여 형성된 작은 중합체
- 특징
폴리머보다 짧은 사슬 구조를 가짐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모노머와 폴리머의 중간 정도.
예) 펩타이드(몇 개의 아미노산이 결합한 작은 단백질), 올리고당(몇 개의 당 분자가 연결된 구조)
3. 폴리머(Polymer) - 고분자
수십 개에서 수천 개 이상의 모노머가 반복적으로 결합한 큰 분자
- 특징
사슬 구조가 길고,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가짐.
천연 및 합성 폴리머가 존재함.
4. 모노머, 올리고머, 폴리머의 관계
모노머가 여러 개 결합하면 올리고머가 되고, 올리고머가 더 많은 모노머와 결하하면 폴리머가 됨.
아미노산 (모노머) -> 펩타이드 (올리고머) -> 단백질 (폴리머)
포도당 (모노머) -> 올리고당(올리고머) -> 셀룰로스, 녹말 (폴리머)
5. 생물학 및 화학에서의 중요성
- 단백질 및 DNA 형성:
- 모노머(뉴클레오타이드, 아미노산)들이 결합하여 DNA, 단백질(폴리머)을 형성.
- 신소재 개발:
- 플라스틱, 합성고무, 나일론 등의 합성 폴리머는 현대 산업에서 필수적임.
- 단계적 조절 가능:
- 특정 조건(온도, 압력, 촉매)에 따라 모노머→올리고머→폴리머로 조절 가능하여 다양한 소재를 만들 수 있음.
'의료관련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RD(Homologous Recombination Deficiency)와 BRCA의 연관성 (1) | 2025.03.14 |
---|---|
Transcriptomics, Metabolomics, Proteomics 비슷하지만 다른 3가지오믹스(Omics) 데이터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5.03.13 |
QTL (Quantitative Trait Loci)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0) | 2025.02.20 |
NGS 검사와 RNA Sequencing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0) | 2024.12.27 |
단백질 구조 예측 모델에서 사용되는 PAE(Predicted Aligned Error)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4.12.17 |
댓글